반응형 기하공차61 프로파일 공차의 종류와 해석 기계 설계와 제조에서 부품의 표면 형상은 성능과 품질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때 표면의 형상 오차를 정밀하게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프로파일(Profile) 공차입니다. 프로파일 공차는 부품의 3차원 형상, 즉 곡면이나 복잡한 곡선을 기준으로 허용 가능한 변동 범위를 지정하는 기하공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로파일 공차의 기본 개념, 주요 종류, 도면 해석법, 측정 및 검사 방법, 그리고 실무 적용 시 주의점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프로파일 공차를 완벽히 이해하면 고정밀 부품 설계와 품질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1. 프로파일 공차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프로파일 공차는 부품의 곡선이나 곡면 등 형상 자체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기하공차입니다. 다른 기하공차가 직선이나 위치 등에 집중한다면,.. 2025. 6. 20. 대칭도(Symmetry)의 개념과 사용법 기계 부품을 설계하거나 가공할 때, 부품의 중심축이나 기준면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중요한 개념이 바로 대칭도(Symmetry)입니다. 대칭도는 단순한 시각적 대칭이 아니라, 기준을 기준으로 형상이 얼마나 정밀하게 대응하는지를 수치화한 기하공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칭도의 정의, 사용 이유, 도면 해석, 측정 방법, 그리고 실제 산업 적용 사례까지 폭넓게 소개합니다. 정밀 가공과 품질 관리에서 대칭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무적인 관점에서도 설명하겠습니다. 1. 대칭도(Symmetry)란 무엇인가?대칭도(Symmetry)는 한 기준면이나 중심선을 기준으로 형상이 거울처럼 반사된 것처럼 얼마나 정확히 배치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기하공차입니다. - 기.. 2025. 6. 20. 평면도(Flatness) 측정법 정밀 부품을 설계하고 가공할 때 가장 기본이자 핵심적인 조건은 평면도(Flatness)입니다. 이는 표면이 얼마나 평평한지를 정의하며, 조립 정밀도, 밀착성, 기능 유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평면도는 기준면 없이 측정되는 기하공차이기 때문에, 측정 방법과 도면 해석, 적용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평면도의 정의부터 측정 장비, 실무 적용 팁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1. 평면도(Flatness)의 개념과 기호 해석 1). 평면도란?평면도(Flatness)는 표면의 요철이나 휨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하공차입니다. 기준면 없이 측정되며, 하나의 평면 상에 존재해야 할 표면이 얼마나 일탈되어 있는지를 정의합니다. 2). 평면도 .. 2025. 6. 13. 원형도(Roundness) 해석 및 적용 알아보기 기계 설계나 제조에서 부품의 정밀도는 제품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원형 부품의 경우에는 단순한 치수공차만으로는 정밀도를 보장할 수 없기에 기하공차(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GD&T)의 개념이 도입됩니다. 그중에서도 원형도(Roundness)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원형도의 정의부터 도면 해석, 측정 방법, 실무 적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하여, 설계자와 생산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1. 원형도(Roundness)의 정의와 기호 1). 원형도란?원형도(Roundness)는 단면 상에서 원이 얼마나 완벽한 형태로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공차입니다. 단면이 완전한 원형이 아닐 경우 발생하는 .. 2025. 6. 12. 원심도(Runout)와 전반 원심도(Total Runout) 차이 정밀 가공과 조립이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서는 회전 부품의 진동이나 불균형이 제품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기하공차(GD&T)에서는 이런 회전 정밀도를 관리하기 위해 원심도(Runout)와 전반 원심도(Total Runout)라는 두 가지 공차가 사용됩니다. 이 두 공차는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적용 방식과 측정 범위, 의미에서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본 글에서는 두 공차의 정의부터 측정 방식, 실제 사용 예시까지 상세히 비교하고 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도 함께 다루겠습니다. 1. 원심도(Runout)란 무엇인가? 1). 정의원심도(Runout)는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부품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단면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공차입니다. 측정 도구는 일반적으로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며, 한 지점.. 2025. 6. 12. 동심도와 동축도의 차이점 알아보기 기계 설계와 정밀 제조 현장에서 "기하공차(GD&T)"는 부품의 형상과 조립 상태를 정의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그중에서도 많은 엔지니어들이 혼동하는 공차 항목이 바로 "동심도(Concentricity)"와 "동축도(Coaxiality)"입니다. 이 두 개념은 모두 중심 정렬과 관련 있지만, 정의, 측정 방식, 적용 목적이 명확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동심도와 동축도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실무에서 어떤 상황에 각각을 적용해야 하는지도 함께 다루겠습니다. 1. 동심도(Concentricity)란 무엇인가? 1). 정의동심도는 "두 개의 형상(주로 원 또는 원통)"의 중심점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공차입니다. 중심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오차 범위를 규정합니다. 2). 기.. 2025. 6. 10.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