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형도 측정 방법2 원형도 vs 동심도의 적용 기준 기하공차(GD&T)는 제조업 현장에서 제품의 형상과 위치, 정렬 등을 표준화하여 정밀하게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그중 원형도(Roundness)와 동심도(Concentricity)는 원형 또는 회전체 부품에 자주 사용되며, 개념이 유사하게 들리기 때문에 설계자나 기술자들이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두 공차는 엄연히 다른 목적과 적용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선택이 제품의 성능, 수명, 조립 정밀도 등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원형도와 동심도의 정의부터, 적용 기준, 실무 활용 사례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원형도(Roundness)란 무엇인가?원형도(Roundness)는 하나의 단면 상에서의 형상이 얼마나 완전한 원 형태에 가까운지를 평가하는 공차입니다. 1). 원형.. 2025. 6. 22. 원형도(Roundness) 해석 및 적용 알아보기 기계 설계나 제조에서 부품의 정밀도는 제품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원형 부품의 경우에는 단순한 치수공차만으로는 정밀도를 보장할 수 없기에 기하공차(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GD&T)의 개념이 도입됩니다. 그중에서도 원형도(Roundness)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원형도의 정의부터 도면 해석, 측정 방법, 실무 적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하여, 설계자와 생산자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1. 원형도(Roundness)의 정의와 기호 1). 원형도란?원형도(Roundness)는 단면 상에서 원이 얼마나 완벽한 형태로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공차입니다. 단면이 완전한 원형이 아닐 경우 발생하는 .. 2025. 6. 12. 이전 1 다음 반응형